미래를 여는 책/신간안내

짐승과 인간 / 메리 미즐리

CNUL 2025. 4. 10. 11:37

<책 소개>

 

『짐승과 인간』은 철학자 메리 미즐리의 첫 저서이자 대표작이다.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를 탐구한 이 책은 철학, 윤리, 심지어 과학에까지 큰 영향을 미친 그의 주요 주제와 사상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인간이 다른 종들과 구별되는 성질에 집중했다. 미즐리는 철학의 장에 동물행동학 연구를 가져와 인간과 다른 종의 유사성을 탐구한다. ‘인간 행동의 동기는 무엇일까?’ 미즐리는 우리가 이해하는 것보다 넓은 관점에서 볼 때 인간 또한 늑대와 곰과 코끼리와 같은 동기로 행동한다고 말한다. 인간과 동물의 차이점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동물 쪽을 간과하면 인간 행동의 풍부하고 복잡한 면모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요지이다.
그는 콘라트 로렌츠, 니코 틴베르헌, 제인 구달을 비롯한 동물학자들의 동물행동 연구를 언급함으로써, 플라톤에서 실존주의에 이르는 전통 철학이 동물 본성에 대해 얼마나 무지했고, 이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얼마나 왜곡했는지 드러낸다. 그와 동시에 리처드 도킨스나 에드워드 윌슨 같은 과학자들의 유전적 결정론을 기초로 한 환원주의적인 세계관을 비판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책은 인간과 동물의 관계, 과학과 윤리의 관계,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과학과 진화론의 발전이 갖는 의미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고, 인간 본성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이해의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대의 한계를 넘어선다. 첫 출간 20년 후 개정판이 나오고 21세기의 생명윤리학적 논쟁에 더욱 타당하다고 인정받으며 출간 시점보다 더 유효하게 읽히는 지금의 상황이 이를 증명한다.

 

<저자 소개>

 

2018년 9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메리 미즐리는 윤리학, 생물학, 인간 본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와 실천적 행동으로 주목받은 영국의 중요한 철학자이다. 그는 환원주의와 과학주의, 그리고 과학을 인문학의 대체물로 삼으려는 시도에 강력히 반대했는데, 『가디언』은 그를 맹렬히 투쟁하는 철학자이자 영국의 “과학적 허식의 가장 큰 위협”이라고 말했다.

1919년 영국 뉴캐슬에서 태어난 미즐리는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수학하면서 철학을 전공했다. 그는 뉴캐슬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자신의 철학적 관점을 발전시켰는데, 과학과 윤리, 동물 권리에 관한 연구로 유명했으며 이후 더럼대학교와 뉴캐슬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오십대에 첫 저서인 『짐승과 인간』(1978)을 출간했고, 이후 『마음과 정신Heart and Mind』(1981), 『동물과 동물이 중요한 이유Animals and Why They Matter』(1983), 『사악Wickedness』(1984), 『생물학적 및 문화적 진화Biological and Cultural Evolution』(1984), 『윤리적 영장류The Ethical Primate』(1994), 『고독한 자아: 다윈과 이기적 유전자The Solitary Self: Darwin and the Selfish Gene』(2010), 『당신은 환상인가?Are You an Illusion?』(2014) 등 많은 책을 저술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미즐리는 당시 유행하던 과학주의에 기반한 원자론적 및 환원주의적 접근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접근 방식이 인간의 자기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1979년 『필로소피』를 통해 『이기적 유전자』(1976)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와 주고받은 신랄한 논쟁은 특히 유명하다. ‘유전자 저글링(gene-juggling)’으로 알려진 이 논쟁에서 두 사람은 진화론, 인간 본성, 인간 행동에 대한 유전자 중심적 관점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로 충돌했다. 도킨스는 행동을 형성하는 데 있어 유전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반면, 미즐리는 인간 행동의 동기는 사회적, 문화적 영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요구한다고 말한다. 그는 인간은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공유하는 능력’과 ‘반응 방식’에 뿌리를 두고 있음이 분명하지만 좀 더 주의 깊게 성찰하면 인간의 생물학적 재능에는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창의성이 발현된다는 것이다.

그의 후기 저작에서 전면에 등장한 또 다른 주제는 과학과 기술이 우리의 모든 질문에 답하고 우리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유토피아에 대한 예측이다. 여기서 그는 과학의 한계, 시적이고 종교적인 전망의 중요성, 그리고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원천을 인간 조건에 통합할 필요성에 대해 말한다. 이와 관련된 생각들은 『종교로서의 진화Evolution as a Religion』(1985), 『지혜, 정보, 경이Wisdom, Information and Wonder』(1989), 『구원으로서의 과학Science as Salvation』(1992), 『유토피아, 돌고래, 컴퓨터Utopias, Dolphins and Computers』(1996), 『과학과 시Science and Poetry』(2000), 『우리가 기대어 사는 신화The Myths We Live By』(2003)에서 탐구된다.
은퇴할 무렵 그의 저술들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고, 미즐리는 동물복지 운동, 환경 운동, 무기 거래 반대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미즐리는 또한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자주 출연하여 동물과 환경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과학적 자만심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다. 그의 말과 글은 철학이 평범한 삶을 다룬다는 신념에 따라 직설적이고 유머러스하고 활기찼으며, 무엇보다 인간적이었다.

 

<목차>

 

개정판에 붙이는 머리말
머리말

1부 어느 유별난 종의 개념적 문제

1장 우리에게 본성이 있을까?
동기 이해하기 | 우리가 가진 개념에 대해 할 수 있는 질문 | 사람이 백지가 될 수 있을까?

2장 동물과 악의 문제
전통과 현실 | 내면의 짐승 |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의 짐승

3장 본능, 본성, 목적
닫힌 본능과 열린 본능 | 종의 본성이란 무엇일까? | ‘생물학적 결정론’의 의미 | 목적에서 출발하는 추론

2부 심리학에서 기예와 과학

4장 지휘자 없는 지휘
과학적이라는 것 | 유전자 떠받들기 | 장기적 시각의 필요성 | 개인을 잊는 어리석음

5장 동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행동에는 동기가 포함된다 | 묘사라는 것 | 소통과 의식

6장 이타주의와 이기주의
이기심의 다양한 관념 | 이기주의의 용도와 오용 | 이타주의를 오해하는 방법 | 불가사의한 무의식적 이타주의자 | 동기 연구 전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방법

3부 이정표

7장 위와 아래
진화의 사다리라는 것이 있을까? | 생존만으로는 불충분하다 | 높이라는 은유 이해하기

8장 진화와 실천적 사고
진화가 타당한 자리 | 신경학이 도덕철학을 대체할 수 없는 이유

9장 사실과 가치
좋음과 바람 | 지식 활용에 관하여 | 본성은 하나의 전체다 | 우리는 이곳의 여행객이 아니다

4부 인간의 표식

10장 말을 비롯한 인간의 뛰어난 특징
단순한 구분의 유혹 | 데카르트-이성과 언어 | 언어와 도덕 | 언어는 무엇일까? 그 밖의 구조적 속성 | 기계 모델이 통할 수 없는 이유 | 언어의 기능 이해하기 | 표현 동작의 기능 이해하기

11장 합리적인 동시에 동물적임에 관하여
본성의 통일성 | 충돌과 통합 | 자기 통제-인간의 해법 | 공통의 해법

12장 문화가 필요한 이유
문화는 본성적이다 | 언어로 본 문화 | 습성과 상징 속에 있는 인류 이전 문화의 뿌리 | 관습적 상징의 자리

5부 공통의 유산

13장 삶의 통일성
감정적 구성 | 가족과 자유 | 지성이 본능을 대체하지 않는 이유 | 의인화는 무엇일까? | 이기주의자의 막다른 골목 | 세계 전체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

감사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