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가 가르쳐 주는 용기의 심리학/나카노 아키라 지음
이 책은 아들러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설명해 기본 틀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준비 과정으로서 전체를 개괄하여 아들러의 심리학과 아들러 본인을 알아보는 Chapter 1이 있으며, Chapter 2에서는 인간은 본래 열등감을 지녔으며, 그 열등감을 보상하기 위해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음을 말한다. Chapter 3은 각기 다른 생활방식과 열등감이 사람에게 강력한 동기를 부여함을 알리고, Chapter 4는 그 사람의 생활양식과 공동체의 가치를 합치시킬 수 있다면, 아들러 심리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공동체 감각이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Chapter 5에서는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공동체 감각을 기초로 해서 공동체 생활, 일, 사랑이라는 인생의 3대 과제에 접근해야 함을 주장하며 마지막 chapter 6은 아들러 심리학이 부적절한 생활양식을 깨닫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한 발 내딛을 수 있는 용기를 부여해 주는 의의를 밝힌다.
<저자>
저자 나카노 아키라(中野明)는 논픽션 작가. 1962년 시가현 출생. 리쓰메이칸 대학교 문학부 철학과 졸업. 도시샤 대학교 비상근 강사. ‘정보통신’ ‘경제·경영’ ‘역사·민속’ 분야를 주제로 집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발표한 저서로는『재벌의 역사 이야기』(쇼덴사) 『글로브트로터(Globetrotter) - 세계의 여행가가 걸어 본 메이지 시대의 일본』 『오늘부터 당장 쓸 수 있다! 드러커의 경영 사고』(아사히신문출판) 외 다수가 있다.
<목차>
Chapter 1 아들러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아들러 심리학의 기본 태도란?
2 ‘용기의 심리학’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3 개인심리학의 아버지 아들러의 생애
4 아들러와 같은 시대를 산 사람들
5 아들러 심리학과 드러커 이론의 공통점
6『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 아들러 심리학에서 받은 영향
〈칼럼〉 아들러의 아내 라이사
Chapter 2 아들러 심리학의 키워드‘ 열등감’
1 아들러는 왜 ‘열등감’에 주목하였나
2 아들러 심리학에서 ‘열등감’의 중요성은 어디에 있는가
3 열등감이 개인에게 작용하는 역할
4 열등감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면 어떻게 되나
5 우월감 콤플렉스와 열등감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6 열등감 콤플렉스에 빠지지 않으려면
〈칼럼〉 프로이트가 보낸 초청장
Chapter 3 인간의 사는 방식을 결정하는‘ 생활양식’
1 아들러 심리학이 중시하는 목적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2 고유의 목표나 생활양식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3 응석받이로 자란 사람의 생활양식
4 자신의 생활양식을 직시하고 바로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5 잘못된 생활양식은 고칠 수 있을까
6 생활양식의 수정을 저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7 우리들의 사는 방식은 트라우마에 따라 결정되는가
〈칼럼〉 아들러의 초기 회상
Chapter 4 아들러가 제창한‘ 공동체 감각’이란 무엇인가
1 ‘공유지의 비극’에서 파탄을 맞는 사회를 생각해 보자
2 아들러가 제창한 ‘공동체 감각’의 의미
3 아들러가 분류한 4가지 성격
4 ‘사회에 유용한 사람’이 되기 위한 구체적 행동
5 상대방을 더없이 소중한 동료로 삼기 위해서
6 어떻게 공동체의 이익에 공헌할 것인가
7 이기적인 경영자가 어떻게 인간답게 변했나
〈칼럼〉 공동체 감각에 놀란 사람들
Chapter 5 우리가 몰두해야 할 인생의 세 가지 과제
1 살아가면서 몰두해야 할 과제
2 사회와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
3 친구를 만들기 위한 비장의 방법
4 어떤 식으로 일과 관계를 맺을 것인가
5 경제학에서 주장하는 비교 우위는 정말 올바른가
6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7 왜 파트너와의 사랑에 공동체 감각이 필요할까
〈칼럼〉 어린이를 잘 다루었던 아들러
Chapter 6 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1 아들러가 채택한 심리요법
2 아들러가 사용한 용기 부여란
3 응석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자연스러운 결말’이란
4 용기를 꺾는 유형
5 스스로에게 용기를 불어넣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6 요컨대 인생의 의미란 무엇인가?
7 아들러 심리학으로 ‘지구인’이 돼라
대화의 신/래리 킹 (0) | 2015.03.11 |
---|---|
하버드 새벽 4시 반/웨이슈잉 (0) | 2015.03.11 |
오래된 질문 새로운 답변/조계완 (0) | 2014.12.29 |
사이토 다카시의 시간관리 혁명/사이토 다카시 (0) | 2014.12.29 |
검색되지 않을 자유/임태훈 (0) | 2014.12.2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