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참된 문명은 사람을 죽이지 아니하고 / 고마쓰 히로시

미래를 여는 책/신간안내

by CNUL 2025. 5. 8. 13:47

본문

<책 소개>

한국의 대표적 지성 김종철
세계적 감성의 음악가 류이치 사카모토
한국 기독교계의 양심 박경미
동학 연구의 최고 권위자 박맹수
모두를 사로잡은 다나카 쇼조의 삶과 사상을 소개하는 책
다나카 쇼조의 삶은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나날이 조금씩, 그러나 쓰러져 그칠 때까지 시대의 불의와 문명의 야만성을 걷기 위해 멈추지 않고 나아가는 싸움의 연속이었다. 동아시아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가이자 의인 다나카 쇼조의 삶과 사상을, 쇼조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 고마쓰 히로시가 간추려 담아낸 책 《참된 문명은 사람을 죽이지 아니하고》를 소개한다.

다나카 쇼조는 풀뿌리 민중의 삶을, 자치의 뿌리인 마을을, 가없이 베풀어 주시는 자연의 은혜로움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곧 국익이고 문명이다, 우리는 국가가 아니라 자연과 하나된 삶을 살아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가 꿈꾼 것은 부국강병이 아니라, 대국 일본이 아니라, 인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연의 은혜로움 아래에서 사람다움을 지켜 가는 삶이었다.

저자 고마쓰 히로시는 다나카 쇼조의 말과 삶을 찬찬히 더듬으며, 바른 정치와 삶, 문명의 길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그려 보인다. 다나카 쇼조의 문장과 고마쓰 히로시의 글이 교차할 때, 일본이라는 나라가 일구어 온 근대국가의 어제와 오늘이, 산과 강, 마을과 사람쯤이야 대수로이 여기지 않은 채 오로지 ‘성장’이라는 한길로만 부지런히 달려온 근대 문명의 민낯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저자 소개>

 

1954년 야마가타 현 오바나자와 시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문학연구과를 다니며 다나카 쇼조와 재일조선인 연구를 시작했다. 논문 〈다나카 쇼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부터 구마모토대학교 문학부 교수로 일하며 한센인 인권 운동, 핵발전 반대와 지문 날인 반대 운동에도 헌신했다. 역사학자로서 연구와 사회의 접점을 끊임없이 모색하며 “학문은 사람을 구하기 위해 있는 것이다.”라는 다나카 쇼조의 가르침을 평생에 걸쳐 실천하고자 애썼다. 2015년 3월 폐암으로 돌아갔다. 그가 소장하고 있던 다나카 쇼조 관련 장서와 자료는 2016년 쇼조의 고향 도치기 현에 자리 잡은 우츠노미야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목차>

 

들어가며 10

1. 다나카 쇼조의 삶 17

2. 삶에서 배운다
온몸으로 공공에 이바지하는 삶 30
인을 실천하는 길 33
가장 약한 것으로 가장 강한 것과 맞선다 38
정직한 이에게 신이 깃든다 43
물질이 모자랄까 애태우지 않는다 47
늙은이의 냉수 식으로 배우는 어리석음 51
오늘은 오늘 주의 55

3. 광독 문제에서 배운다
아직도 계속되는 광독 물난리 64
눈에 보이지 않는 독 67
독을 먹는다 75
물을 맑게 하라 79
평생에 한 번 큰일 하나를 만나면 족하다 83

4. 정치사상에서 배운다
때에 즈음한 덕의 90
내려다보시는 하늘을 우러르지 않으면 94
동학당은 문명적이다 101
우리 일본이 바야흐로 망국이 되었도다 106
인권 또한 법률보다 무겁다 111
자치, 날 때부터 지닌 기득권 117
학생이란 군비를 없애자고 앞장서 외치는 자여야 한다 121
역시 소국은 소국이다 124

5. 야나카학에서 배운다
음식은 넉넉하나 굶어 죽는 이가 많다 132
인민을 돕는 학문은 어디에 있는가 137
인민은 인민의 경험을 믿고 물러서지 말라 142
가장 높은 학교는 민중 속에 있다 148
듣는다와 들려준다의 차이 153

6. 자연과의 공생에서 배운다
치수는 만드는 것이 아니다 160
땅을 가는 것이 자연의 이치 166
땅은 하늘의 것이다 172
사람은 만물의 노예라도 좋다 178
하늘땅과 더불어 184

7. 공공사상에서 배운다
다나카 쇼조의 공공사상 192
납세만큼 공공하는 일은 없다 196
인민이 서로를 소중히 여기는 도리 200
공공하며 서로 돕고 아끼는 생활 205
영장의 인화론 209
자연이 모두에게 베푸는 크나큰 이로움 215

맺는 말 220
후기 225

다나카 쇼조 연표 23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