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진 옷장을 정리하며 /게오르크 피퍼 지음
이제, 쏟아진 마음의 옷장을 정리할 시간이다!
<저자소개>
저자 게오르크 피퍼(Georg Pieper)는 독일의 심리학자이자 국제적인 트라우마 전문가이다. 광산 붕괴 사고, 열차 탈선 사고, 학교 총기 난사 사건을 비롯한 주요 사건·사고의 후속 치료 업무를 관장했고, 2011년에는 노르웨이 오슬로 폭탄 테러 및 우토야 섬 총기 난사 사건의 위기 개입팀을 지원했다. 현재 유럽심리학자협회(European Federation of Psychologists’ Associations)의 독일 대표로, 트라우마와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심리 치료실을 운영하며 트라우마 피해자 및 가족, 구조대원의 심리 치료에 힘쓰고 있다. 독일 공영방송 ARD와 ZDF는 굵직한 사건·사고가 생길 때마다 그에게 자문을 구한다.
<목차>
1부 도대체 왜 이렇게 불안할까
1 스트레스에 쫓기는 삶 ·21
눈 꼭 감고 견뎌야 해! 24│청하지 않은 손님 28│번아웃, 고혈압, 베타 차단제… 31
2 느끼는 위험과 실제 위험 ·34
세상은 좋아졌는데 왜 나는 행복하지 않을까 38│행복의 ‘발견’ 40
3 세상을 보는 우리의 시각 ·45
절대적인 것은 없다 50│진짜 위험과 가짜 위험 53│위기 능력 56
2부 삶이 선로를 벗어날 때
4 전문가들은 위험 상황에 어떻게 대비할까 ·61
5 두뇌는 우리를 어떻게 속이는가 ·66
직관적 사고 vs 이성적 사고 67│태곳적 본능70
6 트라우마 상황이 닥쳤을 때 ·75
1단계: 부정과 부인 75│2단계: 절망과 우울 78│3단계: 수용 또는 좌절 79
7 마음의 응급 프로그램 ·81
상상력이라는 출구 82│작은 반항 84│내면의 힘 일깨우기 86│말로 할수록 덜 아프다 88│의식의 힘 94│타인을 돕기 99│긍정의 에너지 100│때론 믿음이 산을 옮긴다 104│종교로부터 배우는 것들 109
3부 일어날 것인가 주저앉을 것인가
8 영혼을 위한 응급 처치 ·121
9 불행은 한 사람에게만 오지 않는다 ·128
10 트라우마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 ·134
무엇이 트라우마를 유발하는가 138│“그 무엇도 전과 같지 않아!” 140
11 피할수록 더 고통스럽다 ·145
회피의 함정 150│트라우마 받아들이기 153
12 남겨진 자들의 아픔 ·163
살아남은 죄: “차라리 죽는 게 나았어.” 164│과도한 책임감: “나는 실패했어.” 168│돌을 먼저 굴렸다는 죄책감: “내가 그러지 않았더라면….” 171│어두운 예감: “느낌이 안 좋았어.” 173│성적 학대 후의 수치심과 자책감: “내가 자극했어.” 177│자기 비난: “충분히 주의하지 않았어.” 178
13 쏟아진 옷장을 정리하는 법 ·182
‘쏟아진 옷장’ 183│감정의 매듭 187│기억의 틈새 메우기 188│트라우마의 핵심 190│감정 처리 195│트라우마 시나리오 작성 197│대뇌 반구의 자극: EMDR 요법 203│사건 장소 찾아가기 214
14 상처 입은 아이들 ·219
침묵은 극복을 의미하지 않는다 222│서로를 치유하는 아이들 228│놀라운 적응력: 메리의 ‘인생 이야기’ 230
15 트라우마가 전 사회에 엄습할 때 ·237
비극을 극복한 노르웨이 239│기억의 치유 243
16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 ·250
마음을 열고 일상으로 251│이제 떠나보낼 시간 254
4부 고통이 가르쳐 주는 것들
17 우리는 운명의 꼭두각시가 아니다 ·259
인생의 강에서 헤엄치는 법 261│기본 신뢰: 더불어 사는 삶의 원료 267
18 시련이 닥치기 전에 ·273
힘들다고 말하기 274│우린 혼자가 아니다 275│자신의 강인함을 믿어라 278│여기, 그리고 지금의 삶 280│모든 일에는 끝이 있다 284│작은 목표 세우기 286│소소한 것들의 가치 288│첫걸음은 작게 291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채사장 (0) | 2014.12.29 |
---|---|
지금 여기 깨어있기/법륜 (0) | 2014.12.29 |
행복이란 무엇인가/하임 샤피라 (0) | 2014.09.29 |
지식의 반감기/새뮤얼 아브스만 (0) | 2014.09.29 |
다시 소중한 것들이 말을 걸다 /정희재 (0) | 2014.09.2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