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리더들의 성공비결 논리학을 주목하라!
15인의 논리학자가 말하는 관계 정립의 해답
논리학은 문제투성이인 세상을 성공적으로 살아내기 위한 방대하고 과학적인 인류의 발명품이다. 세계의 리더들은 논리를 통해 ‘최선의 선택, 올바른 결정, 이성적인 방법’을 배웠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관점과 치밀함으로 세상과 교류하며 관계를 설정하고 지혜를 얻었다.
논리학이란 사유의 규칙에 대한 연구다. 논리와 논리학의 발전은 구체적 → 추상적 → 대칭 논리의 세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또한 협의와 광의 등의 형식, 변증, 연역, 유추 등등 체계도 매우 방대하고 복잡하다. 이러한 방대함과 복잡함은 독자들이 논리학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논리학은 기초적인 학문으로, 논리학 기본 이론을 연구할 때 학문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원칙과 방법을 중시합니다. 또한 논리학은 도구적인 학문으로, 기초학문을 포함한 모든 학문에 분석, 비판, 추리, 논증을 위한 도구를 제시합니다. 논리학의 중요성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
논리학을 잘 모르더라도 전혀 기초가 없더라도 이 책을 통해 기초원리, 용어, 논리학의 생장과 변동에 대해 알게 되면 세상을 바꾼 논리학이라는 것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고등학교 교사인 저자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 외에 인류의 다양한 사유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좋아한다. 재미있고 쉬운 문체로 복잡한 논리 문제를 설명하는데 뛰어나다.
<목차>
01 아리스토텔레스 ‘논리의 마지막 방어선’
나의 스승을 사랑하지만 진리를 더 사랑한다 -17
논리에 관심을 가져라, 인생에 더 관심을 가져라 -23
나는 속았을까? -29
02 베이컨 ‘논리적 수사’
기존 논리의 비판 -37
귀납법 이야기 -42
언변, 논리적 사고의 단련부터 -48
03 흄 ‘사유 논리의 초석을 다져라’
진위 판별을 위한 명제와 정의 -55
인성론: 만물은 모두 근원이 있다 -61
회색 지대와 인위적 회색 지대 -67
04 프레게 ‘논리학 속의 오류’
잘못된 논리: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75
잘못된 논리: 감각적 경험은 믿을 수 있다. -79
05 크립키 ‘논리학 속의 회피’
항진명제의 기현상 -87
‘일부’와 ‘전체’의 혼용 -93
거짓말을 백 번 반복한다면 -98
06 레이먼 ‘논리학의 잘못된 유추’
전문가의 우둔한 말 -107
여름 벌레는 얼음을 알까 -113
07 러셀 ‘논리학의 또 다른 체계’
논리에 변이가 일어났을 때 -121
양상논리학이란 무엇인가? -126
직관주의 논리: 사람은 왜 사는가? -132
08 라이프니츠 ‘비논리적 사유의 근원’
의심, 불행의 근원인가? -139
시니시즘과 맹목적인 낙관 -144
진실의 이면 -149
09 제번스 ‘수와 양의 논리’
공개적 의미와 숨겨진 의미 -157
정보 속에 숨겨진 위험 -163
치밀한 논리는 현명한 결정을 가져온다 -169
10 오컴 ‘논리의 면도날 위를 걷다’
위험한 단편적 사고 -179
면도날 법칙 -185
습관이 우리의 약점이 될 때 -190
11 뷔리당 ‘논리의 역설’
뷔리당의 당나귀 -199
생활 속 역설, 논리로 극복할 수 있다 -204
반대로 생각하는 역발상 -210
대결에 꼭 필요한 게임적 사고 -216
12 체르멜로 ‘속임수를 무너뜨리는 논리학’
속임수는 논리학과 관계가 있을까? -223
시간이 흐를수록 재미없는 신분위조 놀이 -230
사기꾼의 천적, 논리적 사유 -236
13 밀 ‘논리, 언어와 대인관계 소통’
대인관계 소통을 개선하는 비결 -245
설득의 논리는 당신을 고수로 만든다 -251
곰과 생선을 모두 가질 수 있다 -256
14 타르스키 ‘논리의 생장과 변동을 대하는 법’
진상 찾기, 첫 번째는 온 힘을 기울이기 -263
주의력, 관찰력, 창조력 -269
15 노이만 ‘논리는 세상을 어떻게 정의할까’
브레인스토밍이 연결하는 논리적 사유의 신기한 세상 -277
‘마음의 자물쇠’ 열기 -283
논리라는 ‘황금 열쇠’를 이용해 잠재력 깨우기 -289
사과에 대하여/아론 라자르 (0) | 2020.02.27 |
---|---|
나를 사랑하는 연습/정영욱 (0) | 2020.01.29 |
낯선 죽음/지안 도메니코 보라시오 (0) | 2020.01.29 |
확신은 어떻게 삶을 움직이는가/울리히 슈나벨 (0) | 2020.01.29 |
나는 혼자일 때 더 잘한다/모라 애런스 밀리 (0) | 2020.01.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