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 2010년 「전남의대학술지」신규평가를 중심으로-
전남의대학술지(Chonnam Medical Journal)가 의학분야로서는 국립대 최초로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에 「등재후보」로 선정되다. 국내학회와 각 연구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 소개에 “학진등재 학술지” “학진등재후보 학술지” 등으로 학술지의 지명도를 대명사처럼 표현하던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선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학술진흥재단은 2009년 6월 26일에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과 하나로 통합되어 과학기술 연구활동 지원을 위한 준정부기관 한국연구재단이 되었다. 현재는 본 재단에서 학술지평가와 선정을 주관하고 있으며 매년 6월~7월 사이에 신청접수를 받고 7월~12월 평가를 실시하여 12월말에 발표를 하고 있다.
2. 신규평가대상(평가면제대상 포함)
연구자들 간에 학술정보 교류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학술지로서, 신청연도를 제외하고 최근 3년간 연 1회 이상 연속적으로 발행한 학술지로(소식지 성격의 간행물 등은 제외) 단, 등재(후보)학술지 관리지침 제15조에 의거하여 국제 DB에 등재되었을 경우 평가면제가 되고 선정학술지로 인정을 받는다.
DB명 |
평가면제 |
SCI, SSCI, A&HCI |
등재학술지로 인정 |
SCIE, SCOPUS |
등재후보학술지로 인정 |
□ 평가절차
가. 신규평가
단계 |
심사구분 |
배점 |
과락기준 |
평가방법 | |
1단계 |
체계평가 |
30점 |
18점 미만 |
자체평가 및 재단 확인 | |
2단계 |
내용평가 | 주제전문가 평가 |
50점 |
30점 미만 |
온라인 개별 심사 |
3단계 |
패널평가 |
20점 |
12점 미만 |
패널함의 심사 | |
계 |
100점 |
단계별 |
심사구분 |
배점 |
평가항목 |
평가방법 |
1단계 |
체계평가 |
55 |
11 |
자체평가 및 재단 확인 |
2단계 |
패널평가 |
|
7 |
패널합의 심사 |
□ 평가내용(신규평가항목 및 배점표)
구분 |
평가항목 |
배점 |
비고 |
체계 |
1. 연간 학술지 발간횟수 |
3 |
|
2. 학술지 정시발행 여부 |
3 |
과락적용 | |
3. 학술지 논문의온라인 제공여부 |
4 |
| |
4. 논문명, 저자, 초록, 주제어 부분 표기 형태 |
4 |
과락적용 | |
5. 게재논무의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자 기재여부 |
2 |
| |
6. 논문 게재율 |
2 |
| |
7. 논문 1편강 심사위원 수 |
3 |
과락적용 | |
8. ISSN 부여 |
1 |
| |
9. 논문투고자의 국내외 분포도 |
3 |
| |
10. 편집위원의 전국성 |
2 |
| |
11. 편집위언의 중복성 |
1 |
| |
12. 연구윤리규정 제정 여부 |
1 |
과락적용 | |
13. 학술지 역사 |
1 |
| |
(13개 항목) |
30 |
배점과락 | |
주제 |
1. 게재논문의 학술적 가치와 성과 |
15 |
|
2. 학술지이 전문성 |
10 |
| |
3. 참고문헌(각주)의 서지정보에 대한 정확성 및 완전성 |
10 |
| |
4. 논문초록의 질적수준 |
10 |
| |
5. 논문집의 구성과 체제 |
5 |
| |
(5개 항목) |
50 |
배점과락 | |
패널 |
1. 심사기준의 심사절차의 구체성 |
2.5 |
|
2. 심사기준의 심사절차의 엄정성 |
2.5 |
| |
3. 편집위원회 관련 규정의 구체성 |
2.5 |
| |
4. 편집위원의 전문성 |
2.5 |
| |
5 투고규정의 구체성 |
5 |
| |
6. 연구윤리 강화화롱의 구체성 및 엄정성 |
5 |
| |
(6개 항목) |
20 |
배점과락 |
※ 체계평가 2번, 4번, 7번, 12번 항목 중 0점이 하나라도 있을 경우 총점에 관계없이 탈락조치
※ 체계평가 18점 미만, 주제전문가 평균 30점 미만, 패널평가 12점 미만일 경우 총점에 관계없이 탈락조치
신규평가 준비의 Tip~!
1. 3년 전부터 준비한다 - 평가대상자료가 3년자료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2.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의 평가항목과 배점표를 확인하고 편집과 출판에 반영한다
3. 학술지 발간 전담 행정직원 또는 전문 ME(Manuscript Editor)를 둔다.
4. 투고규정(발행규정)도 평가항목 배점에 맞게 조정한다.
예) 투고규정에 발행일이 구체적으로 월 일까지 명시되면 1점만점에 1점
5. 외국어표기
예) 논문명, 저자명, 초록, 주제어 4가지 항목 모두 외국어 표기이면 4점만점에 4점
6. 논문의 1편당 심사위원 수
예) 총 20편의 투고논문 중 19편은 3명(3점)의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1편만 2명(2점)의 심사위원이 심사할
경우에도 2점으로 평가함.
7. 국내․외 논문 투고자 분포도를 고려한다.
8. 편집위원의 전국 분포도를 고려한다.
9. 현장실사 준비도 철저히 한다.
"찾고 싶은 도서관": 책과 음악의 만남 (0) | 2013.09.10 |
---|---|
책과 음악의 향기(2) (0) | 2013.03.04 |
책과 음악의 향기(1) (1) | 2013.03.04 |
2013년 대학 신입생을 위한 추천 도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0) | 2013.02.26 |
도서관 신문(일간지)열람 소고 (0) | 2013.02.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