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병실기(練兵實紀)>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북방의 기마민족을 상대하기 위해 지은 병법서이다. 척계광은 산동성 등주 출신으로 효과적으로 왜구를 상대하기 위하여 <기효신서(紀效新書)>를 만들고 그 안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앙진(鴛鴦陣)을 고안하여 절강성에 칩입한 왜구 토벌하면서 큰 명성을 얻었다.
남해안에서 큰 성공을 거둔 척계광은 뒤 임지를 북방으로 옮겨 내몽골 지역의 북방민족을 상대하는데 이들의 주력인 기마병에 대항하기 위하여 펴낸 병서가 바로 <연병실기>이다.
임진왜란 초기 기마병 위주로 편성된 조선군은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 크게 고전하고 명나라에 원군을 요청한다. 명나라는 왜구를 상대하는 전술에 익숙한 남방병 위주로 파병하는데 이들이 효과적으로 일본군을 상대하자 조선은 <기효신서>를 구하여 병력을 훈련시킨다. 이렇게 7년간의 전쟁을 거치면서 조선군의 주력은 기존의 기마병 위주에서 궁수, 포수, 창검수로 구성된 보병 위주로 바뀌게 된다.
<연병실기>가 언제 조선에 전래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1600년 조선왕조실록 기사에 다른 여러 병서들과 함께 언급되는 것을 보면 임진왜란 때 <기효신서>와 함께 전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북방의 여진족의 세력이 크게 일어나면서 <연병실기>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된다. 1604년 선조실록 기사를 보면 경기, 충청, 전라, 경상 4도는 <기효신서>를 위주로 병사를 가르치고 강원, 황해, 평안, 함경 4도는 <연병실기>의 법으로 병사를 조련하여 남북을 방비하자는 전략이 논의된다.
<연병실기>는 정집(正集)이 9권, 잡집(雜集)이 6권으로 총 1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병실기>가 다른 병서와 다른 특징은 전차(車)를 중심으로 기병과 화기로 무장한 보병이 진(陳)을 이루고 적 기병의 돌격을 막은 뒤 화기와 기병을 활용하여 적을 물리치는 것이다. 1612년에는 한교(韓嶠)가 <연병실기>를 요약하여 번역한 <연병지남(練兵指南)>을 지어 병사를 훈련시키고 여진족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전차를 활용하는 것은 산지가 많은 조선의 지형에 적합하지 않고 기병을 육성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임진왜란으로 큰 피해를 입은 조선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었다.
때문에 광해군 당시 집권세력인 북인(北人)은 임진왜란을 통해 강화된 보병전력에 총포 등 화력(火力)을 더하여 수성(守城)에 치중하는 방어 전략으로 선회하게 된다.
1619년 조선은 명나라와 후금이 격돌한 사르후 전투에서 명군을 돕기 위해 강홍립을 도원수로 조총과 화기로 무장한 13,000여 명을 파병한다. 하지만, 명군이 각개격파 당하고 평원에서 후금의 기마병에게 무방비로 노출된 조선군은 9,000여 명이 전사하는 참패를 당하게 된다.
이 때문일까? 사르후 전투 다음해인 1920년 평양에서 <연병실기>가 다시 간행된다. 도서관 소장본은 <연병실기>의 부록격인 잡집(雜集)으로 모두 6권 2책으로 각 항목마다 이해하기 쉽도록 삽화가 실려 있는데 권말에 평안도 평양에서 간행했다는 기록이 있다(庚申年(1620)四月日平壤府開刊).
수레의 삽화 | 기마병 삽화 | 보병대 삽화 | 치중(보급대) 삽화 |
현재 남아 전하고 있는 <연병실기>는 대부분 중국본으로 조선에서 간행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권1~3), 연세대학교(권5~6) 2곳에 낙질이 전해지고 있으며 6권이 온전히 전해지는 것은 전남대학교 소장본이 유일하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보병과 화기 위주로 편성된 국토 방어 전략이 북방의 여진족이 강성해짐에 따라 기병을 상대하기 위한 방어책으로 바뀌는 과정을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이다.
※ 연병실기잡집 전시 안내
- 전시기간: 2023. 2. 1. ~ 2. 28.
- 전시장소: 중앙도서관 2층 로비
- 관람시간: 평일 9:00~18:00
중세 국어 연구의 보고 주자증손여씨향약언해 (1) | 2023.04.10 |
---|---|
현종 때 문신 동춘당 송준길의 편지모음 동춘선생수찰 (1) | 2023.03.02 |
발해고의 저자 유득공의 중국여행 한시집 난양록 (0) | 2023.01.04 |
1503년 해인사에서 간행된 예념미타도량참법 (0) | 2022.12.01 |
정조 때 명필 엄재덕의 서첩 현엄산선생재덕진묵 (0) | 2022.08.01 |
댓글 영역